728x90 분류 전체보기611 안전관리조직의 유형 I. 개요1) 안전관리조직이란 원활한 안전활동을 위해 필요한 조직으로2)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Line형, Staff형, Line-staff형 복합형의 3가지로 분류된다. II. 유형1. Line형 조직1) 생산 조직 전체에 안전관리 기능 부여2) 안전지시, 전달이 신속, 정확3) 전문지식 및 기술축적 미흡 2. Staff형 조직1)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Staff부분 활용2) 지식 및 기술축적 용이3) 생산부서에서 안전책임과 권한이 없다 3. Line-staff 복합형 조직1) 안전업무를 전담하는 Staff 부분과 생산라인의 각 층에도 안전 담당자를 배치2) 안전활동이 생산과 분리되지 않아 운용 III. 안전관리조직의 활성화 방안1) 안전관리 체제 확립2) 구성원 모두 참여3) 책임과 권한 명확4) 안전.. 2025. 1. 15. 안전업무의 분류 I. 개요1) 안전업무란 인적, 물적 재해예방 및 대책을 행하는 작업이며,2) 안전업무는 크게 5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II. 안전대책의 원칙1) 기술 (Enginnering) - 공학적 정보 등 기술 활용2) 교육 (Education) - 지식,기술을 이해,숙련3) 관리(Enforcement) - 전사원이 총력을 다해 목표를 달성 III. 안전업무 순서 Flow-chart예방대책 -> 재해 최소화 -> 재해 처리 -> 비상 대책 -> Feed back IV. 안전업무의 분류1) 1단계: 예방대책 - 사전대책을 강구함2) 2단계: 재해를 최소화함 - 재해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함3) 3단계: 재해의 처리 - 재해 발생시 신속하게 재해 처리4) 4단계: 비상대책 - 2, 3차의 재해를 막기 위한 비상 처리.. 2025. 1. 15. 장기사용 김치냉장고 화재 오늘 아침식사에도 지난해 담근 김치가 너무 맛있어서 먹을 때마다 감탄을 자아낸다.이렇게 맛있는 김치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냉장고에 대한 이야기이다.김치냉장고 설치 시 고려사항습기와 먼지 발생이 많은 곳을 피한다.제품과 벽면 사이 간격을 10cm 이상 띄운다.전원선과 전원 플러그가 다른 물체에 눌리지 않도록 한다.누전 차단기 또는 접지단자가 있는 콘센트를 사용한다. 장기 사용한 노후 제품에서 화재 발생 김치냉장고 화재 544건 중 확인 가능한 사고건수(402건)의 발화원인 대부분 (316건, 78.6%)이 전기적 요인으로, 주로 장기간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관련됐다. 전기적 요인은 구체적으로 부품이나 전기배선 노후로 절연성능이 떨어지는 ‘절연열화 단락(합선)’이 91건 (28%)으로 가장 많았고.. 2025. 1. 15. 안전관리와 품질관리의 연계성 I. 개요1) 재해란 사고의 결과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패해현상을 말한다.2) 안전관리란 이러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활동이다 II.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 순서1) 1단계: 계획 (Plan)2) 2단계: 실시 (Do)3) 3단계: 검토 (Check)4) 4단계: 조치 (Action) III. 연계성1) 안전관리 = = 품질관리2) 점검방법이 동시적이고, 점검항목이 대동소이3) 생산성 향상은 품질관리, 양호한 작업환경은 안전관리에서 비롯4) 품질관리 철저는 안전시공의 확보가 되고, 안전관리의 철저는 공사 품질의 확보가 됨5) 품질관리 Cycle인 Plan - Do - Check - Action 단계는 안전관리 단계와 동일 IV. 안전관리와 품질관리의 비교구분안전관리품질관리관련법산업안전보건법건설기.. 2025. 1. 14. 안전관리 순서 및 활동 I. 개요1) 재해란 사고의 결과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현상을 말한다.2) 안전관리란 이러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활동이다. II. 안전관리 목표1) 인간 존중 이념2) 사회적 신뢰3) 경제성 향사4) 기업의 손실 예방 인간존중 - 경제적경영 - 사회적신뢰 III. 안전관리 4 Cycle1) 1단계(Plan:계획) - 안전관리 계획수립2) 2단계(Do: 실시) - 안전관리활동 실시3) 3단계(Check:검토) - 안전관리활동에 대한 검사 및 확인4) 4단계(Action:조치) - 검토된 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수정조치 IV. 안전관리 활동1) 안전조치 - 작업 개시 전 전원 참여2) TBM - 직조반장이 주축으로 작업 단위별 실시3) 안전순찰 - 작업장 전체의 불안전한 요인 시정, 지도4) 안전.. 2025. 1. 14. 도급사업에 있어서의 안전보건 조치 I. 개요1) 동일 장소에서 일부 도급을 주는 공사의 사업주는 산재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조치를 취해야 한다.2) 건설공사 등 도급하는 자는 안전에 저해되는 조건을 붙여서는 안된다. II. 도급사업에 있어서의 안전,보건 조치1) 안전,보건에 관한 사업주간의 협의체 구성 및 운영2) 작업장의 순회 점검3) 안전,보건 교육에 관한 지도 및 지원4) 기타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 III. 도급사업의 합동 안전,보건 점검1) 점검반의 구성- 도급인 및 수급인인 사업주- 도급인 및 수급인의 근로자 각 1인 2) 실시 횟수 : 건설업 월1회 이상 IV. 건설공사 등에서 '안전하고 위생적인 작업수행의 저해조건' 금지1) 설계도서 등에 의하여 산정된 공사기간의 단축2) 공사비 절감 등을 위하여 위험성이 있는 공법 사.. 2025. 1. 13. 작업 중지 I. 개요1) 사업주는 급박한 위험 및 중대 재해 발생시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를 대피하는 등2) 필요시 안전,보건상의 조치를 행한 후 작업을 재개하여야 한다. II. 각종 법령에 따른 재해범위1) 산업안전보건법 - 사망자 1인 이상- 3개월 이상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 2인 이상- 부상자, 직업성 질병자 동시 10인 이상 2) 중대재해처벌법 가. 중대산업재해 (종업원 보호)- 사망 1명 이상- 동일사고로 6개월이상 치료 필요한 2명 이상- 동일 유해요인으로 직업성 질병 1년이내 3명 이상 나. 중대시민재해 (시민 보호)- 사망 1명 이상- 동일사고로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 10명 이상- 동일원인 3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질병자 10명 이상 3) 건설기술진응법 가. 중대한 건설사고 - .. 2025. 1. 13. 이전 1 2 3 4 5 6 7 ··· 8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