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498

발전소 PLOT PLAN 설계의 VE효과 ▣ VE 개념- Value Engineering (VE:가치공학)은 GE가 Value Analysis(VA:가치분석)로 개발하여 미국 국무부가 VE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모든 군납품업체가 VE를 도입하면서 미국 전 산업계에 보급되는 계기가 됨 - 한국은 가전업계가 VE를 도입하여 효과가 검증된 후 대기업으로 확산됨 - 한국 VE중앙추진본부 설립, 한국표준협회의 품질관리, 한국능률협회의 원가절감 차원으로 VE가 활성화 되면서 한국에 적합한 VE기법으로 발전하게 됨 - VE는 건설분야 외에 모든 활동에 기능향상과 효과적인 원가절감방안을 찾는데 적용하는 적저란 기법임 (VE 정의는 국가 및 기관별로 차이가 있음)  ▣ VE 도입 필요성- 프로젝트의 대형화, 전문화 등, 경영여건이 복잡하고 업체간에 수주경쟁이 치.. 2024. 6. 25.
발전소 주요 설비 및 계통 개요 (2) ▣ 증기터빈 부속설비1) 복수기- 2개의 쉘로 구성되며, 터빈 배출 증기를 튜브측 냉각수와 열교환에 의해 진공상태로 팽창시켜 증기의 열낙차를 최대로 하여 터빈 효율 향상 및 복수를 급수로 다시 사용하도록 함- 각 쉘 Neck에 1,2번 저압급수가열기를 설치하여 공간의 효율적 활용과 추기 증기 배관의 압력 강하량을 줄이며 터빈 배기부와 복수기는 Expansion Joint로 연결됨 2) 복수펌프- 증기터빈의 배기가 복수기에서 응축되어 Hotwell에 모이면 복수펌프를 사용하여 Gland Steam Condenser 및 저압 급수가열기를 거쳐, 탈기기 및 탈기기 저장 탱크로 이송됨- 복수 펌프는 수직형으로 정상운전 시에는 보통 2대로 운전됨 3) 복수기 진공 펌프- 복수기 내에 유입된 혼합 공기 및 불응축성.. 2024. 6. 24.
발전소 주요 설비 및 계통 개요 (1) ▣ 발전소 설계 개요발전소의 주요건물과 기기배치는 발전소의 건설공사와 유지 보수작업을 위해 각 건물 및 기기까지 접근용 공간을 확보하며, 터빈건물 전면에 위치한 주변압기는 가스절연 변전소와 연계되어 있고, 보일러 연소 가스는 유인통풍기에 의해 대기로 방출하며, 공해방지 대책으로 전기집진기, 고연돌, 오폐수처리 설비, 비탄 방지설비, 소음방지 및 질소산화물 저감대책 등을 설계에 반영해야 함 ▣ 주요기기 설명1) 증기발생기- 발전용 연료로는 점화 및 기동 시에 경유를 사용하며 정상부하 운전 시 (최대연속 정격 25%이상 부하)는 유연탄 또는 HFO 연료유 사용 2) 터빈발전기- 발전기는 전폐, 원통형, 동기기이며 냉각방식으로 고정자는 수냉식, 회전자는 수소 냉각식을 적용- 2극, 60Hz, 3상 수소냉각 방.. 2024. 6. 14.
발전소 주요건물 및 설비배치 ▣ 개요와 대상 설비 및 건물1) 검토 개요발전소의 Plot Plan 계획 시 발전설비와 부대설비, 각종 건물 등으로 분류하고 각종 기기와 건물 등은 접근성이 우수하여, 경제성, 시공성, 운정성, 유지 보수성, 안전성, 쾌적성, 미관 등 제반 사항이 고려된 최적의 발전소를 배치하고자 함 2) 배치 대상설비 및 건물터빈 건물 (S/T, G/T)보일러 건물 (Boiler, HRSG, WHRB)보조 보일러 건물주제어 건물종합 사무소수처리 및 폐수처리 설비연료유 저장 및 이송 설비원수 저장 탱크 및 이송 펌프순수 저장 탱크 및 이송 펌프탈황 및 탈질설비석탄 및 회처리 설비석회석 및 석고 처리 설비종합 창고냉각수 순환 설비 및 구조물공작실 (Workshop)정문 및 경비실폐기물 저장고 (Waste Storage).. 2024. 6. 13.
PLOT PLAN 계획 ▣ 개요 및 검토 내용1) 개요- 발전소의 Plot Plan은 발전설비 구역과 부대설비, 기타 각종 탱크류 등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잇는 방안을 강구함- 각종 기기와 건물 등을 접근성이 우수하며 경제성, 시공성, 운전성, 유지 보수성, 안전성, 쾌적성, 미관 등 제반사항이 고려된 최적의 환경친화적인 발전소가 배치도도록 계획해야 함 2) 검토내용- 발전소의 Plot Plan을 계획할 때 성능이 우수하고 설비의 신뢰성이 있는 경제적인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 다음의 고려사항에 대해 검토해야 함 ①발전시설 및 부대설비 지역의 최적 배치방안 수립모든 기기의 계통 및 공정, 기능별 배치로 건물 크기 최적화건설공기 단축 및 시공성 향상 (시공간섭 최소화)공사비 절감 및 유지보수 비용 최소화 (배관, Duct, Ca.. 2024. 6. 12.
배관설계 계획 수립 ▣ 개요 및 적용 범위1) 개요각 역무 수행 주체와 적용 범위, 설계 추진방향 등을반영하여 설계 계획 수립 2) 적용 범위설계 기본계획 및 프로젝트 운영계획, 설계 진도 관리체계 운영지침으로 적용 3) 적용 요건설계 역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담당자를 선정하여 설계 수행조직 구성 4) 설계 담당자의 역할담당업무 내용파악, 업무 조정 및 협의를 통한 협조체제 구축과 협력관계 유지  ▣ 주요 역무별 추진 방향1) 개요프로젝트 역무 내역, 기술 특기사항, 용역 기간 등 확인 후 설계 계획 수립 역무 수행- 설계 범위 및 역무 내용 확인- 설계 기준서 작성- 설계 입출력 목록 자성- 설계 투입인력 선정- 교육, 훈련계획 수립- 설계도서 및 도면 목록 작성 2) 설계범위 및 역무내용 확인프로젝트 적기 준공,.. 2024. 6. 11.
배관설계 관리 체계 ▣ 배관설계 관리 체계의 개요 1) 계약서의 설계 요구조건, 역무내역 및 특기사항을 확인하여 설계도면 및 공정표 작성, 진도관리 등 설계업무 전반에 대한 기준, 절차 및 관리기법 2) 설계 예정 공정표 : 설계 예정 공정표는 레벨별로 작성하여 운영하며, 수행역무의 하위단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가 상위단계로 요약되는 체계를 유지함- 레벨 I : 주 공정표로 설계, 구매, 시공 및 시운전 등의 일정, 업무를 나타냄- 레벨 II : 요약 공정표로 전체 공정의 각 단위업무 간에 상관관계를 나타냄- 레벨 III : 기준 공정표로 각 단위 업무 별로 공정관리의 기준이 됨 3) 설계 진도율 관리 : 전체 공정에 영향을 주는 주공정(Critical Path)을 기준으로 설계 진도율 산정기준을 정하고, 설계 단위 업무.. 2024. 6.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