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613

스물 다섯번째, 2025년 봄산행 삼악산 (춘천) 삼악산 ( 三岳山)높이는 655.82m.  주봉(主峰)은 용화봉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로 의암댐 바로 서쪽에 있으며,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강변을 끼고 남쪽으로 검봉산·봉화산이 있습니다.  겨울에 산을 다니지 않아 봄이 되면서 가려는 마음은 있었으나 발걸음이 닿질 않았는데, 이번에 시작을 하고 왔습니다.봄이니까, 우선 춘천의 산부터 시작했습니다.춘천 - 春川, 한자와 같이 '봄 춘'자를 사용하는 느낌으로 여기부터... 등선폭포 입구를 시작으로 산행을 다녀왔습니다.주로 등선폭포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용화봉(정상)을 거쳐 상원사 방향으로 내려오는 코스를 선택하는데, 저는 용화봉만 보고 올라온 길을 따라 하산하였습니다.상원사 방향으로 내려오면 등선폭포 주차장까지 걸어서 복귀해야 하고, 돌아오는 길은 의암댐 옆으.. 2025. 3. 16.
[공정안전자료] 장치 및 설비 명세 (2) - 용접, 비파괴, 후열 등 ▣ 장치 및 설비 명세 [별지 제15호 서식]  ▣ 장치 및 설비 명세 [별지 제7호 서식] ▣ 용접효율   - KS B 6750-3   - 비파괴검사율과 상관수치 기입  ▣ 후열처리여부   - KS B 6750-3   - 실시여부 기입  ▣ 비파괴검사율    - KS B 6750-3   - 실시여부 및 검사율(%) 기입  ▣ 기타   - 부속품은 증류탑의 충진물, 데미스터, 내부의 지지물 등 기입   - 열교환기는 동체측과 튜브측을 구분하여 기입   - Jacket/Coil형 Vessel도 동체측과 Jacket/Coil측을 구분하여 기입  ▣  비고    - 안전인증, 안전검사 적용 기입 (법령명)  ▣ 용접이음의 효율   - KS B 6570-3  ▣ 용접 후 열처리대상   - KS B 6750-3 .. 2025. 3. 11.
[공정안전자료] 장치 및 설비 명세 ▣ 장치 및 설비 명세 [별지 제15호 서식]   ▣ 장치 및 설비 명세 [별지 제7호 서식]   ▣ 기입대상   - Column / Tower류, 반응기류, Drum/Vessel류, 열교환기류, Heater / Furnace류, 탱크류, 집진기 등의 고정장치류   ▣ 장치번호 : P&ID상의 장치번호 기입   ▣ 용량   - Tower류 : 직경(mm) X 전체길이(mm) X 단수   - 반응기류 :  직경(mm) X 전체길이   - Drum류 : 직경(mm) X 전체길이   - 열교환기류 : 전열량(kcal/hr) X 전열면적(m2), 형식(AEU)   - 탱크류 : 저장량(m3), 직경(mm) X 높이(mm)   ▣ 설계압력, 온도(D-37)   ▣ SHELL & TUBE HEAT EXCHANGER.. 2025. 3. 10.
계면활성제 위험 비누, 샴푸, 치약, 세탁세제, 주방 세제, 화장품 등은 생활 속에서 하루 한 번 이상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이 제품들에는 모두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죠. 최근 이들이 가진 계면활성제 유해성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면서 사용을 중지해야 하는지, 중지하면 대체제는 있는지에 대해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계면활성제는 정말 해로운 물질일까요?물과 기름의 경계를 완화하는 ‘계면활성제’‘계면’이란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액체와 고체가 서로 맞닿은 경계면을 말한다. ‘계면활성제’는 이런 계면의 경계를 완하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물과 기름을 섞어 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영어로 풀이하면 표면(surface)와 활성물질(active substance/agent)의 합성어로 ‘surfactant’라고 한다.. 2025. 3. 6.
크레인 설치,해체 작업 안전수칙 타워크레인 사고크레인 해체 중이던 철제 구조물 일부가 떨어져 근로자가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는 지브 크레인의 3분의 2지점에 있던 크레인의 중심을 잡아주는 철제구조물(40t)이 20여m 아래로 떨어지면서 구조물 안에 있던 4명의 근로자가 그대로 함께 추락하여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였다. 크레인 해체 작업 시에는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크레인을 불러 기계실을 들어 고정한 후 해체해야 한다. 만약 이러한 조치가 취해졌다면 안타깝게 사고를 당한 4명의 근로자는 오늘도 웃으며 현장에서 작업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크레인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때에는 많은 인력이 팀 단위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보다 역할분담 및 팀워크가 중요하다. 이때 작업팀의 구성인력은 최소 5명 이상으로.. 2025. 3. 5.
하인리히 법칙 사고는 어느 날 갑자기예고 없이 찾아온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어떤 사고든 늘 우리에게 끊임없이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그 경고를 알아채지 못하고 무시할 때, 결국 더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84년 전 하인리히는 이 불길한 징후를 간파했고, 1:29:300 이라는 법칙을 발견했습니다.이 법칙은 지금까지 안전을 예방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인리히가 알아낸 1:29:300의 비밀1920년대 허버트 하인리히는 미국의 여행자 보험회사에 다니고 있었다. 그는 맡은 업무의 특성 때문에 사고 통계를 자주 접했다. 사고 통계를 분석하던 일ㅇ르 하던 그는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실제로 발생한 7만 5,000개의 사고를 정밀 분석해보니 일정한 법칙에 따라 사고가 일어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 것. 급.. 2025. 3. 4.
유럽 근로자 위험 노출 조사(WES) - 직업성 암 위험요인 ▣ 근로자 위험 노출 조사란?유럽 산업안전보건청(EU-OSHA)에서 EU 회원국 중 6개국(독일, 아일랜드, 스페인, 프랑스, 헝가리 및 핀란드)를 대상으로 실시한 대규모 근로자 (위험) 노출에 관한 설문조사로서 작업 환경에서 근로자들이 직업성 암을 유발하는 인자에 노출되는 정도를 평가하고 예방 정보를 제공하여 직업성 질환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 주요 조사 결과조사 대상인 24가지 직업성 암 유발 인자 중 근로자들이 작업환경에서 가장 빈번하게 노출된 인자별 순위 대부분의 근로자는 WES에서 조사한 24가지 암 유발 인자에 전혀 노출되지 않았으며(52.6%), 21.2%가 24가지 인자 중 1개에 노출되었고, 1.9%가 5개 이상의 인자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한 가지 요소에 노출된 .. 2025. 2.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