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afety/safety training27

밀폐공간 작업 관리 ▣ 밀폐공간 작업 시 조치▷환기작업 시작 전과 작업 중에 당해 작업장을 적정한 공기 상태로 유지한다.폭발. 산화 등의 위험이 우려되면 환기하는 대신에 송기마스크 등을 지급해 착용토록 한다-당해 장소에 근로자를 입장·퇴장시킬 때에 각각 인원을 점검한다. -작업 근로자 외에는 외부 감시인 사이에 상시 연락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한다. -산소결핍이 우려되거나 유해가스 등의 농도가 높아 폭발 위험이 있을 경우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킨다.▣ 유해가스 발생 장소 등에 대한 조치▷터널, 갱 등의 굴착작업사전에 유해가스 농도를 조사한다.우해가스 처리방법과 굴착 시기 등을 정한 후 그에 따라 작업을 시행한다.▷지하실, 기관실, 선착 그밖에 통풍이 불충분한 장소에 비치한 소화기 또는 소화설비의 탄산가스 사용.. 2024. 4. 5.
밀폐공간의 기초 ▣ 용어의 정리 ▷밀폐공간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결핍과 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해와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말한다. 우물, 수직갱, 터널, 잠함 케이슨, 피트, 맨홀, 탱크, 반응탑, 정화조, 침전조, 집수조 등이다. ▷유해가스 탄산가스·일산화탄소·황화수소 등의 기체로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말한다. ▷적정한 공기 산소농도 범위 18% 이상 23.5% 미만 탄산가스 농도 1.5% 미만 황화수소 농도 10ppm 미만수준의 공기 일산화탄소 농도 30ppm미만 ▷산소결핍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가 18% 미만인 상태이다. ▷산소결핍증 산소가 결핍된 공기를 들이마십으로써 생기는 증상이다. ▷위험 공기 근로자가 자신을 구출할 능력을 상실하거나 무능력, 사망에 빠질 수 있는 수준의 실.. 2024. 4. 4.
효과적인 안전교육 방법 안전보건교육은 근로자의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근로자 스스로 재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알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근로자가 안전을 습관처럼 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수 활동입니다. STEP 1 - 안전교육을 위한 준비 안전보건교육을 시작하기 전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와 연관된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작성하고, 우리 사업장의 특성을 고려해 교육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선정합니다. 교육을 준비할 때는 교육 목표를 확인하고, 교재 및 참고 자료를 확보해야 하며, 교육 대상(고령 근로자, 여성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등)의 선행학습 수준 파악이 필요 합니다. 교육을 통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잇는지 파악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또한 교육 환경이 구축되어 있는지, .. 2024. 3. 22.
RCS & ACS 특징 및 안전작업지침 초고층 건축물 콘크리트 공사에 사용되는 공법 중 하나인 시스템거푸집 RCS - ACS 입니다. ▣ RCS(Rail Climbing System)폼이란? - 벽체용 거푸집으로서 갱폼에 거푸집 설치를 위한 비계틀과 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마감용 비계를 일체로 제작한 거푸집이며, 특히 Rail과 Shoe가 맞물려 크레인이 없이 유압을 이용하여 자립으로 인상작업이 가능하고 주로 외주부에 설치한다. ▣ ACS(Auto Climbing system)폼이란? - RCS와 비슷하나 E/V pit처럼 코어부위에 주로 사용하며 앙카플레이트가 몸체를 지지하면서 유압을 이용하여 인상작업을 할 수 있다. RCS 및 ACS는 조립 및 해체작업을 최소화하고 공사용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된 .. 2023. 7. 4.
피뢰침 번개는? 번개는 대기의 불안정을 일으키는 구름이 생성되면서 발생합니다. 구름 속에는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는 입자들이 있는데, 둘이 만나 순간적으로 전기를 만드는 현상을 우리는 ‘번개’라고 부릅니다. 가끔 이 현상은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도 나타나는데, 이것을 ‘낙뢰(落雷)’ 또는 ‘벼락’이라고 합니다. 이 낙뢰의 전압은 무려 1억 볼트로 집에서 쓰는 전기의 50만 배에 해당한다고 해요. 우리는 구름 속의 번개보다 지표면의 낙뢰를 조심해야겠죠! 콰과쾅! 천둥소리 번개가 치게 되면 순간 방전으로 높은 열이 발생하게 돼요. 이때 주변의 공기를 급속히 팽창시켜 파열음이 발생하는데, 이 파열음을 우리는 ‘천둥’이라고 불러요. 이 천둥소리로 번개와의 거리도 측정도 가능하답니다. 빛이 소리보다 빠르기 때문에 번개가 먼.. 2023. 7. 4.
안전문화 그리고 리더쉽 안전문화 그리고 리더쉽 사고 개요 - 1986년 1월 28일, 11시 38분. 케네디 우주센터 발사 73초 후 1만4,000m, 상공 폭발 사고 원인 O링 동결 → 연료 누출 → 폭발 SRB 납품 업체인 모튼치오콜의 위험 경고를 무시하고 NASA 관리자들 회의에서 발사 결정 사고 영향 매콜리프(교사) 포함, 승무원 7명 전원 사망 직접 손실액 : 4,895억 원 우주왕복선 사업 전면 중단 문화 안전보건 사고의 손실 비용 기업의 경제학 Risk Management 인간 중심 위험 역량 Risk Competence 사건과 사고 사고 원인 모델 리더쉽 리더쉽의 역할과 책임 2023. 6. 30.
타워크레인 이야기 출처 : 포스코뉴스룸에서 타워크레인 이야기 거인이라… 우뚝 서 있는 타워크레인은 건설현장의 사령관과 같으니 제법 적절한 비유 같네요. 실제로 타워 크레인 없는 고층건물은 상상도 못하죠. 타워크레인을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아주 옛날의 건축 방식으로부터 시작해 볼게요. 이집트 북부 기자(Giza) 지역에 있는 피라미드는 세계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히는데요! 기원전 2500여 년 전, 고대 이집트인들은 2.5톤이 넘는 블록 230만개를 쌓아 올려 높이 147m, 가로·세로 230m에 달하는 거대 피라미드를 만들었다고 해요. 당시 어떠한 방법으로 석재를 운반했는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많은 학자들은 피라미드 측면에 경사로를 만들어 나무토막으로 만든 굴림대를 이용해 옮겼을 것으로 추정 합니다. 피라미드를.. 2023. 6.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