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Traveling54

열여섯 번째, 서울을 수도로 선정한 이유, 북한산 ♦ 삼각산 삼각산(三角山, 명승 제10호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1번지,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산68-1번지 삼각산은 서울시 강북구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북한산 산군에 속하는 산봉우리의 일부로서, 백운대 836.5m, 인수봉 810.5m, 만경대 799.5m 등 북한산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산봉이다. 삼각산은 주봉인 백운대를 중심으로 북쪽에 인수봉, 남쪽에 만경대의 3봉이 삼각형의 형태로 위치하고 있어 삼각산이라 불러졌다고 한다. 삼각산은 강원도의 백두대간으로부터 갈라져, 서남 방향으로 굽이져 흐르는 한북정맥이 경기도 양주군 남쪽에 도봉산으로 일어선 후 다시 우이령에서 등을 낮추었다가 서울 북방에 이르러 높게 솟구쳐 오른 산이다. 삼각산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인한 대보화강암류(흑운모화강암 .. 2023. 10. 24.
열다섯 번째, 양주 알밤이 궁금하면, 챌봉(제일봉)-호명산 [한북정맥] 챌봉 높이 521m 양주시 홍복마을의 여러 봉우리 중에서 제일 높은 봉우리이며 챌봉-한강봉-호명산으로 이어지는 산행 코스를 따라 호명산을 오는 등산 인구 사시사철을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석현리, 백석읍 복지리에 걸쳐 있는 산봉우리 챌봉 또는 채일봉이라고 불립니다. 봉우리의 생김새가 마치 차일(遮日)을 친 것처럼 생겼다 해서 일부 기록에는 차일봉으로 나와 있습니다. 산이 높아 해를 가리는 봉우리라는 의미에서 차일봉으로 부르다가 챌봉으로 변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제일봉은 신천, 중랑천, 공릉천 등 3개 지천의 발원지에서 유래한 명칭이며, 미군이 지도 제작시 영어로 표기한 것을 다시 한글로 옮기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라는 설도 있습니다. 아조타 아조아에서 챌봉 정상 .. 2023. 10. 23.
열네 번째, MT촌에서 제정신으로 출발하자, 우이령-Y계곡-사패산 [한북정맥] 우이신설-북한산 우이역 2량 전철을 처음 이용했네요. 처음 이용이라 느낀점은 빨리 오고, 귀엽고, 깔끔하다. 많은 분들이 이용하시네요. 우이신설선 우이동 계곡 제게는 우이령 보다는 우이동 MT촌이 더 익숙하네요 ^^;;;; 대학 다닐때에 MT로 왔던 곳!!! 강산이 두번 바뀔 시간만에 와 보니 많이 바뀌고 세련되어 졌네요!! '세련되다'의 어원, 쇠를 제련하면서 날렵해지고 부드러워져 '쇠련되었다'에서 '세련'으로 이어졌다는 설이 있습니다.ㅎㅎ 우이령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과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사이 위치한 고개. 1969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통행이 제한되어 있었고, 2009년 7월이후 탐방객 수를 제한하는 조건으로 우이령이 재개방되었습니다. 우이령 이전 원통사가 있는데, 통.. 2023. 10. 19.
열세 번째, 그곳에는 강이 있다. 백운산 (동강-정선) ♦ 백운산 白雲山,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과 정선군 신동읍의 경계 높이는 882.4m (883m) 구름이 늘 끼여 있다고 하여 백운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백운산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 『조선지도』, 『동국여지도』, 『팔도지도』, 『팔도분도』, 『관동지도』 등에 표시되어 있다. 정선에서 흘러나온 조양강과 동남천이 합류해 이루어진 동강을 따라 크고 작은 6개의 봉우리가 이어져 있다. 동강 쪽으로는 칼로 자른 듯한 급경사의 절벽이 이루어져 있다 이 산은 깍아 지른듯한 암벽을 오르기도 하고 순한 평탄지를 오르기도 하는 등 산과 생김새가 가는 곳마다 상이하다. 백운산은 또한 천연기념물 제260호인 백룡동굴을 간직하고 있는 산이기도 하다. 백운산 산행은 동강과 함께 한다. 정상에서 칠족령까지.. 2023. 10. 18.
열두 번째, 기억하자, 왕복6시간, 초행길은 9시간, 가리왕산 ♦ 가리왕산加里王山,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과 북면(北面) 및 평창군 진부면(珍富面) 사이높이는 1,561m우리나라 9번째 높은 산이다. 옛날 맥국(貊國)의 갈왕(葛王 또는 加里王)이 피난하여 갈왕산이라고 부르다가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가리왕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한강의 지류인 동강(東江)에 흘러드는 오대천(五臺川)과 조양강(朝陽江)의 발원지이다.  ♦ 어은골가리왕산자연휴양림을 들어서며 볼 수 있는 계곡을 따라 등산로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자연휴양림 끝에서 등산로의 시작점이 이 어은골입니다.물고기가 숨어서 산다는 뜻의 어은골에는 6.25사변 이전까지 10여호의 화전민이 살고 있었으며, 골입구에 있는 큰 바위는 수면을 가르며 헤엄치는 이무기(용이되려다 못되고 물속에 산다는 전설상의 큰 .. 2023. 10. 17.
열한 번째, 문산고속도로를 달리면 보이는, 견달산 - 북한산전망대 - 중고개재 [한북정맥] 견달산 입구 견달산은 입구가 공장 창고 입구에 위치하고 있어 아래 사진의 좌측 진입로가 입구 입니다. 만약 저 하얀색 트럭이 더 앞으로 나와 주차되어 있었다면 등산로를 찾기 힘들었으리라 생각됩니다. 정상 근처에 운동시설도 있는데 등산로 입구 표시 하나정도 있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견달산은 "GS25 고양센터점" 찍고 안쪽까지 진입해서 갓길주차해도 되고,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문봉동 91-58"을 찍고 가셔도 됩니다. 아래 사진의 창고 주소예요. 여기는 사유지라서 여기에 주차하시면 안됩니다. 견달산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산1-3번지. 견달산은 고양시 식사동의 주산이 되는 유명한 산으로 북한산(삼각산)에서 이어져온 한북정맥에 속한다. 서북쪽의 고봉산과 북쪽의 독산, 남쪽의 영글이산과 함께 인.. 2023. 10. 13.
열번째, 군사지역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장명산 - 금정굴 - 고봉산성 [한북정맥] 장명산 입구 장명산 입구는 푯말이 없기 때문에 찾기가 힘듭니다. 아래 지도에 가보면 사진과 같이 좌우측 옹벽을 만날 수 있는데, 옹벽을 지나가기 전 작은 오르막길이 등산로 입니다. 등산로는 군인들 진지를 위해서 만들 길로 되어 있고, 군시설이 있고, 울창한 나무 덕분에 음침함이 느껴집니다. 장명산 등산길 낮은 산이고 군 시설물로 쉽고 오를 수 있습니다. 모기가 많아요 금정굴 금정굴에 가서 처음 알았습니다. BAC 프로그램에서 역사적 사실도 확인할 수 있도록 장소를 선정한 점에서 더욱 좋은 프로그램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금정굴은 "여자만숯불장어구이"를 찍고 길 따라 계속 들어가면 공동(?)주차장을 만날 수 있습니다. 주차를 하고 등산로는 우노힐 일산요양병원 입구에서 시작하였는데, 도로부에도.. 2023. 10.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