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pisode/Player

고도비만 시대를살아가는 사람들의 건강비법 10가지

by Pkassy 2024. 11. 20.
728x90

서양의 문제로만 여겨졌던 고도비만.

하지만 우리나라도 고도비만자가 늘면서 ‘고도비만 수술’ 치료가 건강보험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 개인의 문제로 치부되던 비만문제에 정부가 관심을 쏟게 된 데에는 비만이 각종 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 등,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입니다. 고도비만의 현주소와 예방법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 20~30대 고도비만 증가 중

1997년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비만과 흡연이 21세기 전 세계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공중보 건학적 문제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습니다.

 

WHO의 예측대로 현재 전 세계 성인 비만율은 53.9%로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비만은 체지방의 과도한 증가로 대사이상이 유발된 상태입니다. 국가와 전문가마다 이견이 있으나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25kg/m2 이상이면 비만, 30kg/m2 이상이면 고도비만, 35kg/m2 이상이면 초고도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33.4%로 OECD 국가의 평균보다는 낮지만, 최근 OECD는 우리나라 고도비만 인구가 2030년에는 현재의 2배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비만율이 높은 미국의 경우 40~50대의 고도비만 비율이 높은 반면, 우리나라는 경제활동이 한창인 20~30대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문 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그 원인을 소아청소년의 비만율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패스트푸드와 고칼로리 음식의 섭취 빈도가 증가하는 반면 신체 활동은 감소하고, 더불어 수면이 불규칙해져 증가하는 소아청소년 의 비만이 자연스럽게 20~30대의 고도비만으로 이어진다는 해석입니다

 

▣  비만, 사회경제적 비용의 증가로 이어져

비만은 간암, 대장암, 유방암, 담낭암, 자궁내막 암, 난소암, 전립선암, 신장암과 같은 암종의 유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뇨병, 고혈압, 이상 지질혈증,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근골격계 질환 등 주요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이기도 합니다. 또한, 난임 및 우울증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비만의 증가는 구직 등 사회활동에 제약을 초래하고, 사회경제적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한양대학교병원

▣  고도비만 수술, 장단점 고려해야

고도비만 수술은 위의 용적을 줄이는 장치를 체내에 삽입하거나 위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으로 진행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위우회술입니다.

 

작은 위 주머니를 만들고, 이것을 영양소를 흡수하는 십이지장을 건너뛰어 하부 소장으로 우회시키는 수술이다. 섭취하는 음식의 양이 크게 줄고, 식욕과 관련 한 호르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고도비만 환 자의 체중 감량에 크게 도움을 준다.

식이요법, 운동, 약물 치료로는 어려운 많은 양의 체중 감소가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비만에 의한 질병 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하지 만 철분, 칼슘, 비타민B12 등의 흡수가 다소 어려워지기 때문에 골다공증이나 빈혈 예방을 위해 영양보충제를 복용해야 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소장우회술의 경우 위 내용물 이 빠르게 소장으로 유입돼 오심, 허약감, 발한, 현기증, 설사 등이 식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도비만 수술은 미용적인 목적이 아니라 건강상의 위험을 줄일 목적으로 시행돼야 하며, 수술에 인한 환자의 건강상 이익과 위험을 저울질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출처, 한양대학교병원

 

▣  고도비만 예방하려면

고도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사요법, 운동 요법, 행동수정요법을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지방은 총 열량의 25% 이내로 섭취하고, 포화지 방과 트랜스지방의 섭취는 최소화하도록 한다. 탄수화물 섭취는 총 섭취열량의 50~60%로 감소하는데, 열량 제한에 따른 체단백 손실을 막 기 위해 적당량의 단백질 섭취가 권장됩니다.

 

음주 빈도와 음주량을 제한하며, 1회 섭취량이 1~2잔이 넘지 않도록 합니다.

 

본인의 운동능력 을 파악해 무리한 운동으로 신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계획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운동의 종류, 강도, 지속시간, 강도 등을 고려하며, 중강도 운동을 30분 이상 지속하여 최소 주 3회 이상 하도록 합니다.

 

체중 감량 목표를 설정하되 단계 별로 계획하고, 목표한 체중 감량 시 보상을 통 해 건강 행동을 지속할 동기를 강화시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가 도움이 됩니다. 아울러 식사일기와 운동일기를 통해 자기관찰을 하는 것도 고도비만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일 것 입니다.

 

출처 안전보건공단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