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fety/safety issue

교통 신호등의 역사

by Pkassy 2024. 1. 3.
728x90

교통 신호의 역사

세계 최초의 신호등은 1868년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에서 제일 처음 사용한 수동식 신호등이었습니다.

 

철도 정비사 '존나이트'는 원판에 둥글게 구멍을 뚫어서 정지 표시인 빨간색과 주의 표시인 초록색을 넣고 가스등을 달았다. 그러나 교통경찰이 직접 손으로 조작해야 했고, 가스 누출로 폭발이 자주 발생해 안전사고 문제로 사라지게 되고 그 자리를 촛불 신호등과 석유등이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1900년대에 들어서자 자동차 생산이 늘어나면서 교통량이 급증했고, 신호등의 필요성이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최초의 전기 신호등은 1914년 '가렛 모건'이 발명한 것으로 빨간등 하나만 있었으며, 미국 자동차 도시인 디트로이트시에 설치되었다.

 

4년 후인 1918년 빨강, 초록, 노랑의 3색 전기 신호등이 미국 뉴욕5번가에 등장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수동식 신호등이었기 때문에 경찰관이 교통량에 따라 버튼을 눌러 교통을 통제했다.

이때 신호등의 의미는 지금과는 조금 달랐는데, 초록색은 '길이 열렸으니 좌우로 가시오'.   노랑색은 '직진만 하시오',   빨강색은 '정지'를 뜻했다고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느 4방향 3색 신호등은 1920년 미국 디트로이트의 교차로 교통관제탑에 등장했다. 미국 디트로이트 경찰이었던 '윌리엄 포츠'가 철도에 사용되던 신호체계를 도로에 적용해 만들었지만, 이 또한 수동으로 조작해야 했다. 

 

1922년 드디어 신호등에 타이머를 적용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신호등이 등장한다. 1950년대부터는 전자 기술과 컴퓨터의 발달로 신호 장비와 교통질서 운영에 걸맞는 신호체계가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 신호등이 등장한 것은 1940년으로 현재와 같이 둥근 형태의 점등식이 아니라 기차가 플랫폼에 들어올 때 기둥에서 삼색 날개가 번갈아 나오는 '날개식 신호기'였다. 날개식 신호기는 서울 종로, 을지로입구, 조선은행 앞에 설치되었고, 교통경찰이 조작해야 했으며 점등 장치가 없어서 밤에는 사용하지 못했다. 

 

오늘날에 사용하는 점등식 3색 신호등은 광복 이후 미군이 주둔하면서 설치되었다.

 

이후 1978년에는 온라인 신호 시스템이 갖춰진 신호등을 도입, 1982년에는 좌회전 표시가 추가된 4색 등을 도입했다.

1990년대에는 도시의 교통량이 급증하면서 실시간 신호제어 시스템이 등장해 현재의 교통 체계를 완성했다. 현재 신호등은 초록색이 '진행', 노란색은 '주의', 빨간색은 '정지'를 의미한다.

 

3색등의 순서는 국제적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가로식 배열의 신호등에서 빨간색의 위치는 좌측통행 국가는 오른쪽, 우측통행 국가는 왼쪽에 있지만, 세로식을 어느 나라나 신호등의 색 위치가 똑같다.

 

출처:헤드라인제주

728x90

'Safety > safety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 화재 - 과열방지장치  (83) 2024.01.09
슬기로운 혈당 관리, 혈당측정기  (85) 2024.01.04
통계로 보는 2022년 산업재해  (38) 2023.12.20
헬멧의 유래  (1) 2023.12.13
안전장갑의 이모저모  (1) 2023.12.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