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환기 희석2

인화성 물질의 누출 일반사항 - 인화성 물질 누출 - 인화성 물질의 누출률(release rate) : EHA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 넓은 폭발범위 형성 조건 누출률이 많을 수록..... 폭발하한계(LFL)가 낮을수록.... *인화하한값 15%인 NH3 ->누출->급희석(개방된 공간) => 폭발성분위기 생성 무시 가능 누출원 ▣누출원 파악 EHA 구분 기본 요소 : 누출원 식별 및 누출등급 결정 인화성 물질이 해당 장소에 존재할 수 있는지 결정 필요 인화성 가스와 증기는 공정설비내에 존재하며, 설비는 밀폐식이거나 아닐 수 있으므로 공정설비 내 인화성 분위기 조성 장소 또는 누출로 외부에 인화성 분위기 조성 장소 구분 필요 공정설비 각 단위장치(탱크, 펌프, 배관, 용기)는 인화성 물질의 잠재적 누출원으로.. 2023. 5. 29.
방폭 관련 법규 및 용어정리 방폭 관련 자료는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교육원 교육자료를 편집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방폭관련 기준 산업안전보건법은 한국산업표준에 따라 폭발위험장소 설정관리 시행 [폐지] IEC 60079-10:2002 및 IEC 61241-10:2004 (1판) IEC 60079-10-1:2008 및 IEC 60079-10-2:2009 [국내,폐지] KS C IEC 60079-10-1:2007 [국내, 1판] KS C IEC 60079-10-1:2012 및 KS IEC 60079-10-2:2014 [국내, 2판] KS C IEC 60079-10-1:2015 (3판) IEC 60079-10-1:2020 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 절차 누출원 누출등급 - 연속/ 1차/ 2차 누출등급 누출률 계산 - 증기/가스 누출물, 액체 .. 2023. 5.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