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폭발위험장소 종별2

폭발위험장소의 종별(Type- 0종/1종/2종/비위험장소) 폭발위험장소의 종별 - 일반사항 폭발성 가스 분위기의 형성 가능성은 누출등급 및 환기에 영향을 받는다 폭발위험장소(EHA) 종별 : 0종, 1종, 2종 및 비위험장소 하나의 누출원에 의해 폭발위험장소로 구분된 곳이 또 다른 누출원에 의한 위험장소와 중첩되면, 중첩된 장소에는 더 높은 폭발위험장소 등급 적용 누출등급의 영향 누출등급은 3가지로 인화성 물질 누출의 발생빈도와 지속시간의 내림차순으로 결정 a) 연속 누출등급 b) 1차 누출등급 c) 2차 누출등급 누출원은 3가지 누출등급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누출등급에 따라 폭발위험장소 결정 적절한 환기지역(일반적으로 옥외 플랜트)에서는 연속 누출등급은 0종 장소, 1차 누출 등급은 1종 장소, 2차 누출등급은 2종 장소로.. 2023. 6. 6.
방폭 관련 법규 및 용어정리 방폭 관련 자료는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교육원 교육자료를 편집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방폭관련 기준 산업안전보건법은 한국산업표준에 따라 폭발위험장소 설정관리 시행 [폐지] IEC 60079-10:2002 및 IEC 61241-10:2004 (1판) IEC 60079-10-1:2008 및 IEC 60079-10-2:2009 [국내,폐지] KS C IEC 60079-10-1:2007 [국내, 1판] KS C IEC 60079-10-1:2012 및 KS IEC 60079-10-2:2014 [국내, 2판] KS C IEC 60079-10-1:2015 (3판) IEC 60079-10-1:2020 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 절차 누출원 누출등급 - 연속/ 1차/ 2차 누출등급 누출률 계산 - 증기/가스 누출물, 액체 .. 2023. 5.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