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폭발위험장소 구분2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론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론 - 일반사항 ▣ 개요 플랜트나 설계를 간략히 조사하는 것, 폭발위험장소를 3종 장소 구분하는 것 쉽지 않음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생성될 기본 가능성 분석하는 것 포함 필요 인화성 가스/증기 누출을 결정하는 경우, 누출 가능성과 빈도 (연속/1차/2차)에 따라 평가 누출등급, 누출률, 농도, 속도, 환기 등이 결정되면, 폭발성 가스 분위기의 생성 가능성과 폭발위험장소의 종류 및 범위를 결정하는 확실한 근거 ▣ 구분 시기 초기 P&ID 와 공정배치도(layout plan)가 준비되었을 때 EHA 구분 플랜트 가동 전 확인 필요 ▣ 전반적인 평가 다양한 잠재적인 누출원의 형태, 수와 위치를 검토하여 적절한 위험장소와 경계조건 형성 기능안전표준(Function Safety Standar.. 2023. 5. 29.
폭발위험장소 구분 - 일반사항 안전보건규칙 별표 1 인화성 액체 : 인화점이 60℃ 이하인 물질 (원유, 납사, 가솔린, 에탄올, 메탄올, 헥산, 톨루엔 등) * 101.3 kpa에서 인화점이 60℃ 이하이거나 고온, 고압의 운전조건으로 화재, 폭발 위험이 있는 상태에서 취급되는 가연성물질(열매유 등 해당 가낭) - 산압법 시행령 별표10 인화성 가스 : 폭발하한이 13%이하이거나 폭발상하한의 차가 12% 이상인 것으로서 101.3kpa 하의 20℃에서 가스상태인 물질 (도시가스, C3-LPG, C4-LPG, 수소,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부피분을 15% LFL을 갖는 암모니아가 누출되면 개방된 공간에서 빠르게 소산되므로 무시한다 용어 정의 정상작동 (Normal Operation) - 설비가 설계변수 범위 내에서 작동되는 상태 .. 2023. 5.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