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외함접지1 공도구 종류 및 관리방안 목차 감전재해의 위험성 공도구 점검의 목적 공도구 점검 - 감전재해 예방활동 외함접지 누전차단기 배선용차단기 1. 감전재해의 위험성 - 발생율은 비교적 낮은 부분에 속함 - 재해가 발생되면 호흡정지, 심장마비, 근육수축 등의 신체기능 장해 발생 - 고소작업시 추락 등으로 인한 2차재해가 발생 가능 - 생명에 지장이 없더라도 장애가 남는 경우가 다수 발생 2. 전기의 특성 눈에 보이지 않고 무색무취 손으로 직접 확인 불가능 각종 재해 중 가장 빈도수가 높으며, 인체에 전기가 흘렀을 때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인체의 반응 및 사망의 한계는 그 속성상 인체 실험 불가 어떠한 실험결과가 나와도 그것이 검증되기 어려움 재해발생시 전기신호가 신경과 근육을 자극해서 신체기능의 정상적인 기능 저하 (호.. 2023. 4. 7.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