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도구 점검2 공도구 종류 및 관리방안 목차 감전재해의 위험성 공도구 점검의 목적 공도구 점검 - 감전재해 예방활동 외함접지 누전차단기 배선용차단기 1. 감전재해의 위험성 - 발생율은 비교적 낮은 부분에 속함 - 재해가 발생되면 호흡정지, 심장마비, 근육수축 등의 신체기능 장해 발생 - 고소작업시 추락 등으로 인한 2차재해가 발생 가능 - 생명에 지장이 없더라도 장애가 남는 경우가 다수 발생 2. 전기의 특성 눈에 보이지 않고 무색무취 손으로 직접 확인 불가능 각종 재해 중 가장 빈도수가 높으며, 인체에 전기가 흘렀을 때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인체의 반응 및 사망의 한계는 그 속성상 인체 실험 불가 어떠한 실험결과가 나와도 그것이 검증되기 어려움 재해발생시 전기신호가 신경과 근육을 자극해서 신체기능의 정상적인 기능 저하 (호.. 2023. 4. 7. 09. Electrical Testing It is more likely that this will happen during electrical testing and fault finding, when conductors at dangerous voltages are often exposed. You can minimise this risk if testing is done while the equipment is isolated from any dangerous source of supply, although this is not always possible. Take care to prevent contact with any hazardous internally produced voltages. The most serious injuries.. 2022. 12. 13. 이전 1 다음 728x90